이집트의 대통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이집트 대통령은 이집트의 국가 원수이자 행정부 수반이며,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 1952년 이집트 혁명 이후 공화정이 수립되면서 대통령직이 설치되었으며, 2019년 헌법 개정으로 임기는 6년으로 연장되었다. 역대 대통령으로는 무하마드 나기브, 가말 압델 나세르, 안와르 사다트, 호스니 무바라크 등이 있으며, 2011년 혁명 이후 무함마드 무르시가 선출되었으나 쿠데타로 해임되었다. 현재 대통령은 압둘팟타흐 시시이다. 대통령 유고 시에는 부통령, 인민의회 의장, 최고헌법재판소장 등이 권한을 대행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 정부 - 이집트 항공
이집트항공은 1932년 카이로에 설립된 이집트의 국영 항공사로,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항공사 중 하나이며, 다양한 국제 및 국내선을 운항하고, 스타얼라이언스 회원사로서 다수의 항공사와 협력하며, 과거 사고와 혁명 후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구조 개편을 통해 성장을 추구하고 있다. - 이집트 정부 - 고고학 최고 평의회
고고학 최고 평의회는 이집트 문화부 산하 기관으로 이집트 내 고고학 유적지 관리, 기념물 보존, 불법 문화재 회수 등의 업무를 수행하며, 해외 박물관 소장 이집트 유물 반환 요구로 논란이 되기도 하는 이집트 고고학 관련 핵심 기관이다. - 이집트의 대통령 - 무함마드 무르시
무함마드 무르시는 이집트의 공학자이자 정치인으로, 2012년 이집트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이집트 최초의 민주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이 되었으나, 재임 중 군부에 의해 축출된 후 사망했다. - 이집트의 대통령 - 가말 압델 나세르
가말 압델 나세르는 이집트 혁명을 이끌고 초대 대통령이 된 정치가이자 혁명가로, 범아랍주의와 반제국주의를 내세워 아랍 세계의 지도자로 부상했으며, 수에즈 운하 국유화, 경제 개발, 사회주의 정책 추진 등의 업적과 권위주의적 통치, 6일 전쟁 패배 등의 비판을 동시에 받으며 이집트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대통령 목록 - 키르기스스탄의 대통령
키르기스스탄 대통령은 국가 원수로서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되며, 총리 임명, 대외 정책 결정, 법률 공포 등 광범위한 권한을 행사한다. - 대통령 목록 - 이탈리아의 대통령
이탈리아 대통령은 의회 양원 의원과 지역 대표로 구성된 선거인단에 의해 선출되는 국가원수로서, 7년 임기 동안 국가를 대표하며 외교, 입법, 행정, 사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징적 및 실질적 권한을 행사하고 국가 안정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집트의 대통령 | |
---|---|
기본 정보 | |
![]() | |
직책 | |
직위 | 대통령 |
국가 | 이집트 |
대통령기 | Flag of the President of Egypt.svg |
현직 | |
현직 대통령 | 압델 파타흐 엘 시시 |
취임일 | 2014년 6월 8일 |
상세 정보 | |
직책 스타일 | 각하 |
거주지 | 헬리오폴리스 궁전, 카이로, 이집트 |
임기 | 6년 |
임기 제한 | 1회 연임 가능 |
급여 | (약 US$72,000) (연간) |
웹사이트 | https://www.presidency.eg/EN |
역사 | |
설립 | 1953년 6월 18일 |
전신 | 이집트와 수단의 국왕 |
초대 대통령 | 무함마드 나기브 |
기타 | |
후계자 | 승계 |
부통령 | 이집트의 부통령 |
2. 역사
이집트 헌법은 1953년 공화국 수립 이후 다양한 형태를 띠어 왔다. 2005년까지 이집트 대통령 선출 방식은 프랑스 제5공화국의 방식을 따랐다. 이집트 입법부인 국민 의회가 대통령 후보를 지명하고, 후보자는 의회에서 3분의 2 이상 찬성을 얻어야 했다. 이후 국민 투표를 통해 대통령이 확정되었다. 이집트는 1962년 프랑스가 대통령 선출에서 입법부의 역할을 없애고 직접 대통령 선거를 도입한 후에도 이 방식을 유지했다. 1971년 이집트 헌법에서는 국민 의회의 명칭이 인민 의회로 변경되었다.
이집트 혁명으로 왕정이 붕괴되고 공화정이 수립되면서 국가 원수로서 대통령이 설치되었다. 2019년 헌법 개정으로 대통령 임기는 6년으로 변경되었다[22]. 공화정 수립 후 국호는 '''이집트 공화국''' (1953년 - 1958년), '''아랍 연합 공화국''' (1958년 - 1971년), '''이집트 아랍 공화국''' (1971년 - 현재)으로 변천했다.
2. 1. 이집트 공화국 수립과 초기 대통령
이집트 혁명으로 왕정이 무너지고 공화정이 수립되면서 국가 원수로서 대통령이 설치되었다. 공화정으로 전환된 후 국호는 '''이집트 공화국''' (1953년-1958년)이었다.번 | 대 | 사진 | 이름 | 취임일 | 퇴임일 | 선거 | 정당 |
---|---|---|---|---|---|---|---|
- | - | ![]() | 무하마드 나기브 محمد نجيب|무함마드 나기브ar (1901.2.20 ~ 1984.8.28) | 1952년 7월 23일 | 1953년 6월 18일 | 1952년 군사 쿠데타 혁명위원회 위원장 | 해방집회 |
1 | 1 | -- | 무하마드 나기브 محمد نجيب|무함마드 나기브ar (1901.2.20 ~ 1984.8.28) | 1953년 6월 18일 | 1954년 2월 25일[23] | 1953년 공화국 선포 | 해방집회 |
- | - | ![]() | 가말 압델 나세르 جمال عبد الناصر|자말 압델 나세르ar (1918.1.15 ~ 1970.9.28) | 1954년 2월 25일[23] | 1954년 2월 27일 | 혁명 위원회 의장[23] | 해방집회 ↓ 국가연합 |
1 | 1 | -- | 무하마드 나기브 محمد نجيب|무함마드 나기브ar (1901.2.20 ~ 1984.8.28) | 1954년 2월 27일[24] | 1954년 11월 14일 | 대통령 복귀[24] | 해방집회 |
- | - | -- | 가말 압델 나세르 جمال عبد الناصر|자말 압델 나세르ar (1918.1.15 ~ 1970.9.28) | 1954년 11월 14일 | 1956년 6월 23일 | 혁명사령부 평의회 의장 | 해방집회 ↓ 국가연합 |
2. 2. 나세르 시대
가말 압델 나세르는 1952년 혁명을 주도한 자유 장교단의 일원으로, 무하마드 나기브를 축출하고 대통령직을 수행했다.[23] 1956년, 1958년, 1965년 선거에서 당선되었다.[25][26]나세르는 아랍 사회주의 연합을 창당하여 일당제를 확립하고, 수에즈 운하 국유화, 아스완 댐 건설 등 사회주의 정책을 추진했다. 제3차 중동전쟁 패배의 책임을 지고 일시 사임했으나, 의회의 사표 반려로 대통령직에 복귀했다.[29] 1970년 심장마비로 사망할 때까지 대통령직을 유지했다.
2. 3. 사다트 시대
안와르 사다트는 1970년 9월 28일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이 사망하자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다.[30][31] 그해 10월 15일 대통령 선거에서 90%의 득표율로 대통령에 당선되었다.[30][31]사다트는 1971년 9월 2일 이집트의 국호를 아랍 연합 공화국에서 이집트 아랍 공화국으로 변경했다.
1976년 10월 2일 대통령 선거에서 99.94%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32] 1978년 10월 2일에는 국민민주당을 창당했다.
1981년 10월 6일 사다트 대통령이 암살당하면서 수피 아부 탈레브가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게 되었다.
2. 4. 무바라크 시대
1981년 10월 6일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이 암살되자, 수피 아부 탈레브가 대통령 권한 대행을 맡았다. 이후 1981년 10월 14일, 호스니 무바라크가 대통령직에 올랐다.[31] 무바라크는 1987년, 1993년, 1999년, 그리고 2005년 대선에서 연이어 승리하며 장기 집권했다.[31][33]무바라크의 집권 기간과 당선 결과는 다음과 같다.
집권 기간 | 선거 결과 |
---|---|
1981년 10월 14일 ~ 1987년 10월 5일 | 1981년 대선 - 98.5% (9,567,904표)[31] |
1987년 10월 5일 ~ 1993년 10월 4일 | 1987년 대선 - 97.1% (12,086,627표)[31] |
1993년 10월 4일 ~ 1999년 9월 26일 | 1993년 대선 - 96.3% (15,095,025표)[31] |
1999년 9월 26일 ~ 2005년 9월 27일 | 1999년 대선 - 93.79% (17,554,856표)[33] |
2005년 9월 27일 ~ 2011년 2월 11일 | 2005년 대선 - 88.6% (6,316,714표) |
무바라크는 국민민주당 소속으로, 2011년까지 장기간 이집트를 통치했다.
2. 5. 2011년 혁명 이후
2011년 혁명으로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이 사임한 후, 무함마드 후사인 탄타위가 이끄는 이집트군 최고위원회가 일시적으로 국가를 통치했다.[31]2012년 대선에서 무함마드 무르시가 당선되어 이집트 최초의 민선 대통령이 되었으나,[34][35][36] 2013년 쿠데타로 축출되었다.[37] 이후 아들리 만수르 헌법재판소장이 대통령 권한대행을 맡았다.[38]
2014년 대선에서 압둘팟타흐 시시가 당선되어[40] 현재까지 대통령직을 수행하고 있으며, 2018년 대선과 2023년 대선에서 재선되었다.
번 | 대 | 사진 | 이름 | 임기 시작 | 임기 종료 | 선거 | 정당 |
---|---|---|---|---|---|---|---|
- | - | ![]() | 무함마드 후사인 탄타위 محمد حسين طنطاوي|무함마드 후사인 탄타위ar | 2011년 2월 11일 | 2012년 6월 30일 | 이집트군 최고위원회 의장 | 무소속 |
5 | 12 | ![]() | 무함마드 무르시 محمد مرسي|무함마드 무르시ar | 2012년 6월 30일 | 2013년 7월 3일[37] | 2012년 대선 - 51.73% 13,230,131표[34][35][36] | 자유정의당 |
- | - | 압둘팟타흐 시시 عبد الفتاح السيسي|압둘팟타흐 시시ar | 2013년 7월 3일[37] | 2013년 7월 4일 | 2013년 군사 쿠데타[37] (국방부 장관 및 군 총사령관) | 무소속 | |
- | - | 아들리 만수르 عدلي منصور|아들리 만수르ar | 2013년 7월 4일 | 2014년 6월 8일 | 2013년 국방부 장관 지명[38] 대통령 대행 (헌법재판소장) | 무소속 | |
6 | 13 | ![]() | 압둘팟타흐 시시 عبد الفتاح السيسي|압둘팟타흐 시시ar | 2014년 6월 8일 | 2018년 6월 8일[39] | 2014년 대선 - 96.91% 23,780,104표[40] | 무소속 |
2018년 6월 8일 | 2024년 4월 2일 | 2018년 대선 - 97.08% 21,835,387표 | |||||
2024년 4월 2일 | 2023년 대선 - 89.65% 39,702,451표 |
대통령 임기 만료 60일 전부터 선거 절차가 진행된다.[1] 헌법 제76조 개정안은 대통령 선거 과정 감독을 전담하며 완전한 독립성을 갖는 "대통령 선거 관리 위원회"의 설립을 규정한다.[1]
이전 헌법에 따르면 이집트 대통령의 임기는 4년이었고, 연임은 1회로 제한되었다. 2019년 헌법 개정을 통해 임기가 6년으로 연장되었고, 압델 파타 엘시시 대통령은 2기 제한에서 예외를 적용받아 세 번째 임기를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17] [18] 대통령은 이집트군의 최고 사령관을 겸임한다.
3. 선출
위원회는 최고 헌법 재판소의 소장과 4명의 당연직 사법부 위원으로 구성되며, 이들은 최고 헌법 재판소, 파기원, 고등 행정 법원의 부통령, 카이로 항소 법원장 중 가장 선임인 인물이다.[1]
나머지 위원은 국민 의회에서 선출된 3명과 슈라 의회에서 선출된 2명으로 구성된 5명의 독립적이고 중립적인 공인으로 구성된다.[1]
위원회 결정은 7표 이상의 다수결로 통과된다.[1] 이 위원회는 5년의 임기를 가지며, 후보자 접수, 수락된 후보자 발표, 선거 절차 감독, 개표 및 결과 발표를 포함한 대통령 선거 과정을 감독할 전적인 권한을 갖는다.[1]
또한 대통령 선거와 관련하여 제출된 모든 이의 제기나 소송에 대해 최종적인 사법적 권한을 가지며, 그 결정은 최종적이고 항소할 수 없다.[1] 위원회는 자체 규정을 제정할 수 있으며, 사법부 위원 중에서 일반 소위원회를 구성하여 위원회의 감독하에 선거 과정의 다양한 단계를 감시할 권한을 갖는다.[1] 선거 절차는 하루 만에 완료된다.[1]
이집트의 대통령은 국민의 직접 선거로 선출된다.[1]
4. 임기 및 권한
4. 1. 임기
이집트 대통령의 임기는 이전 헌법에 따라 4년이었으며, 연임은 1회로 제한되어 총 2번의 임기를 수행할 수 있었다.
2019년 2월 14일, 이집트 의회는 2014년 헌법 개정안을 압도적으로 통과시켰다. 이 개정안은 대통령 임기를 4년에서 6년으로 연장하고, 현직 대통령 압델 파타 엘시시가 현재 임기를 6년으로 연장하며, 세 번째 임기를 수행할 수 있도록 허용하여 2기 제한에서 예외를 두었다.[17] 이 개정안은 2019년 이집트 헌법 국민투표에서 비준되었다.[18]
대통령은 재임 기간 동안 정당의 공식적인 구성원이 될 수 없다. 대통령 당선인이 현직 대통령의 임기가 끝나기 전에 발표되면, 현직 대통령은 임기가 끝날 때까지 직무를 계속 수행한다.
공화정 발족 초기에는 임기가 6년이었고 연임 제한은 없었으나, 이후 임기는 4년으로, 연임은 1회(총 2기 8년)로 제한되었다. 2019년 헌법 개정으로 임기는 다시 6년으로 연장되었다.[22]
4. 2. 권한
이집트군의 최고 사령관을 겸임한다.
5. 역대 대통령 목록
번호 | 대수 | 사진 | 이름 | 임기 | 선거 | 정당 | |
---|---|---|---|---|---|---|---|
취임일 | 퇴임일 | ||||||
- | - | 무하마드 나기브 محمد نجيب|무함마드 나기브ar | 1952년 7월 23일 | 1953년 6월 18일 | 1952년 군사 쿠데타 혁명위원회 위원장 | 해방집회 | |
이집트 공화국 | |||||||
1 | 1 | -- | 무하마드 나기브 محمد نجيب|무함마드 나기브ar | 1953년 6월 18일 | 1954년 2월 25일[23] | 1953년 공화국 선포 | 해방집회 |
- | - | 가말 압델 나세르 جمال عبد الناصر|가말 압델 나세르ar | 1954년 2월 25일[23] | 1954년 2월 27일 | 혁명 위원회 의장[23] | 해방집회 ↓ 국가연합 | |
1 | 1 | -- | 무하마드 나기브 محمد نجيب|무함마드 나기브ar | 1954년 2월 27일[24] | 1954년 11월 14일 | 대통령 복귀[24] | 해방집회 |
- | - | -- | 가말 압델 나세르 جمال عبد الناصر|가말 압델 나세르ar | 1954년 11월 14일 | 1956년 6월 23일 | 혁명사령부 평의회 의장 | 해방집회 ↓ 국가연합 |
2 | 2 | 1956년 6월 23일 | 1958년 2월 22일 | 1956년 대선 - 99.9% 5499555표[25] | 해방집회 ↓ 국가연합 | ||
아랍 연합 공화국 | |||||||
2 | 3 | -- | 가말 압델 나세르 جمال عبد الناصر|가말 압델 나세르ar | 1958년 2월 22일 | 1965년 3월 15일 | 1958년 대선 - 100% 6102116표[26] | 국가연합 ↓ 아랍 사회주의 연합 (1962.12.1 이후) |
4 | 1965년 3월 15일 | 1967년 6월 9일 (사임)[28] | 1965년 대선 - 99.9% 6950098표[26][27] | 아랍 사회주의 연합 | |||
- | - | ![]() | 자카리야 모히에딘 زكريا محيي الدين|자카리야 모히에딘ar | 1967년 6월 9일[28] | 1967년 6월 11일 | 대통령 대행[28] (부통령) | 아랍 사회주의 연합 |
2 | 4 | -- | 가말 압델 나세르 جمال عبد الناصر|가말 압델 나세르ar | 1967년 6월 11일 | 1970년 9월 28일 | 대통령 복귀 (의회 사표 반려)[29] | 아랍 사회주의 연합 |
- | - | ![]() | 안와르 사다트 أنور السادات|안와르 사다트ar | 1970년 9월 28일 | 1970년 10월 15일 | 대통령 대행 (부통령) | 아랍 사회주의 연합 |
3 | 5 | 1970년 10월 15일 | 1971년 9월 2일 | 1970년 대선 - 90% 6432587표[30][31] | 아랍 사회주의 연합 | ||
이집트 아랍 공화국 | |||||||
3 | 5 | -- | 안와르 사다트 أنور السادات|안와르 사다트ar | 1971년 9월 2일 | 1976년 10월 2일 | 아랍 사회주의 연합 | |
6 | 1976년 10월 2일 | 1981년 10월 6일 | 1976년 대선 - 99.94% 9145683표[32] | 아랍 사회주의 연합 국민민주당 (1978.10.2 이후) | |||
- | - | ![]() | 수피 아부 탈레브 صوفى أبو طالب|수피 아부 탈레브ar | 1981년 10월 6일 | 1981년 10월 14일 | 대통령 대행 (의회 의장) | 국민민주당 |
4 | 7 | ![]() | 호스니 무바라크 حسنى مبارك|호스니 무바라크ar | 1981년 10월 14일 | 1987년 10월 5일 | 1981년 대선 - 98.5% 9567904표[31] | 국민민주당 |
8 | 1987년 10월 5일 | 1993년 10월 4일 | 1987년 대선 - 97.1% 12086627표[31] | ||||
9 | 1993년 10월 4일 | 1999년 9월 26일 | 1993년 대선 - 96.3% 15095025표[31] | ||||
10 | 1999년 9월 26일 | 2005년 9월 27일 | 1999년 대선 - 93.79% 17554856표[33] | ||||
11 | 2005년 9월 27일 | 2011년 2월 11일 | 2005년 대선 - 88.6% 6316714표 | 국민민주당 | |||
- | - | 무함마드 후사인 탄타위 محمد حسين طنطاوي|무함마드 후사인 탄타위ar | 2011년 2월 11일 | 2012년 6월 30일 | 이집트군 최고위원회 의장 | 무소속 | |
5 | 12 | 무함마드 무르시 محمد مرسي|무함마드 무르시ar | 2012년 6월 30일 | 2013년 7월 3일[37] | 2012년 대선 - 51.73% 13230131표[34][35][36] | 자유정의당 | |
- | - | 압둘팟타흐 시시 عبد الفتاح السيسي|압둘팟타흐 시시ar | 2013년 7월 3일[37] | 2013년 7월 4일 | 2013년 군사 쿠데타[37] (국방부 장관 및 군 총사령관) | 무소속 | |
- | - | 아들리 만수르 عدلي منصور|아들리 만수르ar | 2013년 7월 4일 | 2014년 6월 8일 | 2013년 국방부 장관 지명[38] 대통령 대행 (헌법재판소장) | 무소속 | |
6 | 13 | 압둘팟타흐 시시 عبد الفتاح السيسي|압둘팟타흐 시시ar | 2014년 6월 8일 | 2018년 6월 8일[39] | 2014년 대선 - 96.91% 23780104표[40] | 무소속 | |
2018년 6월 8일 | 2024년 4월 2일 | 2018년 대선 - 97.08% 21835387표 | |||||
2024년 4월 2일 | 2023년 대선 - 89.65% 39702451표 |
이집트 혁명으로 왕정이 타도되고 공화정으로 이행하면서 국가 원수로서 대통령이 설치되었다. 2019년 헌법 개정으로 임기는 6년이 되었다[22]。공화정 이행 후 국호는 '''이집트 공화국''' (1953년 - 1958년), '''아랍 연합 공화국''' (1958년 - 1971년), '''이집트 아랍 공화국''' (1971년 - 현재)으로 변천했다. 아래 목록에 있는 대통령의 대수는 공화정 시기를 통틀어 계산한 것이다.
6. 대통령 권한 대행
이집트 헌법은 대통령이 일시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부통령 또는 총리에게 권한을 위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권한을 위임받은 사람은 의회 해산, 헌법 개정 제안, 내각 해임 등을 할 수 없어 권한이 제한된다.
대통령직이 공석이 되거나 대통령이 영구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경우, 인민의회 의장이 일시적으로 대통령직을 맡는다. 이때 인민의회가 해산된 경우에는 최고헌법재판소장이 대통령직을 인계받는다. 단, 두 사람 모두 대통령 후보로 자천할 수 없으며, 의회 해산, 내각 해임, 헌법 개정 제안 등의 권한은 제한된다.
인민의회는 대통령직 공석을 선포해야 하며, 새 대통령은 대통령직 공석일로부터 최대 60일 이내에 선출되어야 한다.
헌법은 대통령 승계 과정에서 부통령의 역할을 직접 규정하고 있지 않지만, 인민의회가 공석이 된 대통령직에 부통령을 지명하는 것이 관례였다. 안와르 사다트와 호스니 무바라크는 대통령직이 공석이 되었을 때 부통령이었다. 그러나 무바라크는 1981년 대통령 승계 후, 개혁을 요구하는 대규모 시위가 벌어지던 2011년 1월 29일에 오마르 술레이만을 부통령으로 임명하기 전까지 부통령을 임명하지 않았다.[19]
참조
[1]
웹사이트
Salary Abdel Fattah Al Sisi
https://paywizard.or[...]
2023-11-10
[2]
웹사이트
Egypt's Sisi sworn in as president
http://www.theguardi[...]
2023-07-06
[3]
웹사이트
Britain in Egypt
https://www.whipplel[...]
2019-05-10
[4]
웹사이트
Gamal Abdel Nasser
https://www.britanni[...]
2023-06-21
[5]
웹사이트
Anwar Sadat
https://www.britanni[...]
2023-06-24
[6]
웹사이트
Egypt crisis: Army in pledge to end state of emergency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2-11
[7]
웹사이트
Egypt's Mubarak resigns as leader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2-11
[8]
뉴스
Mohamed Morsi sworn in as Egypt's president
https://www.aljazeer[...]
[9]
뉴스
Muslim Brotherhood's Morsi becomes Egypt's first civilian president
http://www.csmonitor[...]
2012-06-24
[10]
뉴스
Egypt's Morsi overthrown
https://www.aljazeer[...]
[11]
뉴스
Sisi sworn in as Egypt's president
https://www.france24[...]
2014-06-08
[12]
뉴스
Egypt's Sisi wins 97 percent in election with no real opposition
https://www.reuters.[...]
2018-04-02
[13]
뉴스
Egypt parliament extends presidential term to six years
https://www.aa.com.t[...]
[14]
웹사이트
Egypt's Sisi wins third term as president after amending constitution | Egypt | the Guardian
https://amp.theguard[...]
2023-12-19
[15]
URL
https://english.ahra[...]
2024-08
[16]
웹사이트
Egypt's newly-approved constitution to be followed by tackling key political laws
http://english.ahram[...]
Ahram Online
2014-01-19
[17]
웹사이트
Egypt's Parliament Moves to Extend Presidential Term Limits
https://www.voanews.[...]
2019-06-03
[18]
뉴스
Egyptian voters back constitutional changes
https://www.bbc.com/[...]
2019-09-21
[19]
뉴스
Mubarak deputy insists president will not bow out before Egyptian elections
https://www.theguard[...]
2012-08-28
[20]
웹사이트
The 2012 Constitution of Egypt, Translated by Nivien Saleh, with Index
http://niviensaleh.i[...]
2013-02-09
[21]
서적
Nasser: The Last Arab
St. Martin's Press
2004
[22]
뉴스
エジプト国民、88%が改憲支持 シシ大統領の任期延長へ
https://www.afpbb.co[...]
2019-04-24
[23]
뉴스
나기브將軍失脚
http://newslibrary.n[...]
1954-02-27
[24]
뉴스
大統領에 나기브將軍復職
http://newslibrary.n[...]
1954-03-01
[25]
서적
Elections in Africa: A data handbook
1999
[26]
서적
Elections in Africa: A data handbook
1999
[27]
URL
Database and Search Engine for Direct Democracy
http://www.sudd.ch/e[...]
[28]
뉴스
나세르下野宣言
http://newslibrary.n[...]
1967-06-10
[29]
뉴스
「나세르」下野
http://newslibrary.n[...]
1967-06-10
[30]
URL
Database and Search Engine for Direct Democracy
http://www.sudd.ch/e[...]
[31]
서적
Elections in Africa: A data handbook
1999
[32]
URL
Database and Search Engine for Direct Democracy
http://www.sudd.ch/e[...]
[33]
URL
Database and Search Engine for Direct Democracy
http://www.sudd.ch/e[...]
[34]
뉴스
BREAKING: Mursi, Shafiq officially in Egypt's presidential elections runoffs
http://english.ahram[...]
[35]
Youtube
النتيجة النهائية لانتخابات مصر( الجولة الأولى )
https://www.youtube.[...]
[36]
뉴스
Muslim Brotherhood's Mursi declared Egypt president
http://www.bbc.co.uk[...]
BBC
2012-06-24
[37]
뉴스
대통령 축출 이집트 군부 '쿠데타' 논란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3-07-04
[38]
뉴스
꽁꽁 언 '아랍의 봄'…이집트 사태 미궁속으로 등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3-07-12
[39]
뉴스
이집트 ‘아랍의 봄’ 3년만에 군사정권 복귀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2014-06-05
[40]
웹인용
El-Sisi wins Egypt's presidential race with 96.91%
http://english.ahram[...]
Ahram Online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